CBDC와 기존 전자화폐(카카오페이·토스)의 본질적 차이
디지털 결제 전성시대, ‘화폐’는 같지만 ‘구조’는 다르다우리 일상에서 현금을 사용하는 비율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이제 대부분의 사람들은 카카오페이, 토스,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등 다양한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해 송금, 결제,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사람들은 디지털 결제가 곧 디지털 화폐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실상은 전혀 다르다.최근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화폐)가 세계 각국에서 도입 논의되면서, 이와 기존 전자화폐 간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CBDC는 겉으로 보기엔 간편결제 서비스와 유사하게 보일 수 있지만, 탄생 배경, 발행 주체, 법적 성격, 기술 구조, 금융 시스템 내 위치 등에서 근본적인..
CBDC가 금융소외계층에 미치는 영향 분석
디지털 전환 시대, 금융에서 밀려난 사람들디지털 금융 서비스가 고도화되면서, 우리는 은행에 가지 않고도 계좌 개설, 송금, 대출, 투자까지 가능한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여전히 금융 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는 사람들, 즉 금융소외계층이 존재한다. 고령자, 저소득층, 장애인, 외국인 노동자, 농어촌 거주민 등이 그 대상이다. 이들은 스마트폰 보급률이 낮거나 디지털 리터러시가 부족하고, 신용평가 시스템에서 배제되면서 기존 금융 혜택에서 소외되어 왔다.이러한 상황에서 주목받는 것이 바로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다. CBDC는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고 운영하는 디지털 형태의 법정화폐로, 현금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차세대 화폐로 주..